전체 글156 2017년 4월 고3 학평 수학 나형 15번 교집합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묻고 있는 문제입니다. 합집합의 범위를 체크하면 최솟값과 최댓값을 동시에 해결할수 있습니다. 최대가 되는 순간은 집합 A가 집합 B에 포함될 때이고, 최소가 되는 순간은 집합 A와 집합 B의 합집합이 전체집합이 될 때로 정리하시면 됩니다. 고1 학생들이 내신문제로 많이 접해본 유형인데다가 직전 모의고사인 2017년 3월 모의고사에서 동일한 유형이 출제가 되었기 때문인지 해당모의고사에서 정답률 상위 15위 안에 든 문제로 확인됩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2021. 8. 14. 2017년 3월 고3 학평 수학 나형 28번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묻고 있는 문제입니다. 최댓값은 직관적으로 해석할수 있지만 최솟값은 합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가지는 범위에서 시작해야 구할수 있습니다.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최대가 되는 순간은 집합 B가 집합 A에 포함될때이고, 최소가 되는 순간은 집합 A와 집합 B의 합집합이 최대가 되는, 즉 전체집합이 될때로 정리하시면 됩니다. 이 유형은 현 고1 학생들의 내신문제로 많이 다루어지기 때문인지 해당 모의고사에서 거의 절반인 50.7%의 학생들이 정답을 맞추었습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2021. 8. 14.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최댓값은 직관적으로 파악할수 있습니다. 원소의 개수가 가장 작은 집합을 찾으면 되겠죠. 하지만 최솟값은 바로 파악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합집합의 최대, 최소에서 교집합으로 식을 변형하는 작업을 거칩니다. 그 과정을 잘 정리해둔다면 서술형 대비도 충분히 되겠죠. 두 개의 집합인 경우를 해석한다면 세 개의 집합인 경우에도 정리할수 있습니다. 각 집합의 원소의 개수에서 전체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몇번 빼면 되는지에 대한 규칙을 찾으셨다면 일반화도 가능하겠죠.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13년 6월 고1 학평 수학 9번 2018년 6월 고2 학평 수학 가형 11번 2018년 6월 고2 학평 수학 나형 27번 2017년 3월 고3 학평 수학 나형 28번.. 2021. 8. 13. 2018년 3월 고3 학평 수학 나형 29번 "모든"과 "어떤"을 포함한 명제를 해석하여 반드시 가지는 원소를 체크하여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모든"은 말 그대로 "하나도 빠짐없이 만족"으로, "어떤"은 "단 하나라도 존재해야"로 해석해야겠죠. 오답률이 해당 모의고사에서 두번째로 오답률이 높았던 문제로 고3 학생들에게도 까다롭게 느꼈던 문제였습니다. 하지만 현재 집합을 배우고 있는 고1 학생들 내신시험문제로도 출제가능성은 충분히 있겠죠.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8. 13. 화정고(고양시 덕양구) 2018년 1학년 2학기 중간 수학 4번 두 집합을 합집합한 결과가 공집합이면 두 집합 모두 공집합이 되어야합니다. 차집합의 표현과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식을 변형한다면 해석이 어려워지죠. 보기에는 없지만 A와 C의 포함관계는 알수가 없다는 것도 체크해두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8. 13. 2015년 9월 고2 학평 수학 가형 19번 주어진 정적분식을 계산하면 b=2a라는 조건을 얻게 됩니다. 결국 이 문제는 삼차함수와 x축과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을때를 묻고 있음을 그래프로 해석할수 있다면 정적분 계산을 하지 않고도 빠르게 b=2a를 이끌어내어 문제를 해결할수 있습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삼차함수와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을 조건 2021. 8. 12.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