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2

선덕고(서울 도봉구) 2020년 2학년 2학기 중간 수2 12번 분모가 0이 되게 하는 x값에 대해 분수식은 정의되지 않는다에서 문제풀이를 시작하게 됩니다. 그러면 a의 범위가 왜 주어졌는지에 대한 이해도 확실히 하게 되는거죠. 또한 연속성을 물어보고 있지만 극한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되어야 한다는 것을 잊지말아야겠습니다. 이 문제는 "2019년 EBS 만점마무리 봉투모의고사 나형 2회 16번" 문제의 변형문제입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8. 23.
무한대를 본 남자 (The Man Who Knew Infinity, 2015) - 이 리뷰는 은사수리과학연구소에서 발간한 '월간수리과학 창간호'에 기고한 글을 원본으로 하며, 약간의 편집과 수정이 이루어졌습니다. - [들어가며] 수학을 소재로 한 여러 영화중에서 만큼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영화는 드물다. 대학청소부였던 수학천재인 ‘윌’의 정신과 상담을 위해 수학과 교수인 ‘램보’는 친구인 심리학 교수 ‘숀’에게 부탁을 한다. 거절하는 ‘숀’에게 ‘램보’ 교수는 인도의 천재 수학자 라마누잔과 그의 천재성을 알아보고 영국으로 불러들여 같이 연구를 한 수학자 하디의 이야기로 설득한다. 그 라마누잔과 하디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영화가 바로 이다. 이 영화는 로버트 카니겔의 라마누잔에 대한 전기인 를 원작으로 하고 있다. [라마누잔의 천재성을 알아본 하디] 스리니바사 라마누잔 (.. 2021. 8. 23.
[내코디 전국내신실전모의고사] 2021년 1학년 2학기 중간고사 대비 15회 20번 주어진 문자의 개수가 많다고 해서 겁먹을 필요가 없습니다. f(x)는 x에 대한 함수임을 잊지 않았다면 x가 아닌 t와 a는 결국 상수라는 것을 알수 있게 되죠. 또한 정의역과 공역의 원소가 네개 뿐이므로 네가지 경우 모두 써보면서 접근해본다면 그리 어렵지 않은 문제임을 알게 됩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내가 아는 바를, 문제에서 주어진 것을 아주 작고 단순한 것이라도 자꾸 써보면서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이 문제는 2016년 EBS 수능특강 수2 03 함수 level2 2번을 변형한 문제입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8. 23.
[내코디 전국내신실전모의고사] 2021년 1학년 2학기 중간고사 대비 15회 18번 조건을 만족하는 함숫값을 묻고 있는 문제이며, x가 소수일때는 f(x)=x가 되고 x가 소수가 아닐때는 소인수분해를 통해 (나) 조건을 이용하여 소수로 바꾸는 것이 핵심입니다. 작은 수부터 규칙을 따라가면서 몇개의 함숫값을 구해본다면 충분히 규칙을 찾을 수 있습니다. 문제를 좀 더 발전시킨다면 시그마를 이용한 계산도 물어볼수 있겠죠.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재현고(서울 노원구) 2020년 1학년 2학기 중간 18번 2021. 8. 23.
[내코디 전국내신실전모의고사] 2021년 1학년 2학기 중간고사 대비 14회 18번 첫번째 풀이는 좌표를 설정하는 일반적인 접근법을 이용한 것입니다. 길이와 넓이 문제는 좌표의 설정에서부터 출발하며, A와 B가 원 위의 점임을 이용한다면 주어진 여러 개의 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습니다. 많은 문제들이 도형을 좌표평면에서 해석하여 좌표와 방정식으로 표현하여 해결할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두번째 풀이는 도형에서의 해석, 즉 원의 중심과 현, 닮음 등을 이용한 것입니다. 결국 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원의 중심과 반지름이며, 복잡해보이는 도형을 하나씩 떼서 생각해본다면 필요한 길이들을 구할 수 있습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상계고(서울 노원구) 2019년 1학년 2학기 중간 18번 2021. 8. 23.
[내코디 전국내신실전모의고사] 2021년 1학년 2학기 중간고사 대비 14회 17번 직각삼각형이 되는 경우가 세가지임을 파악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다만 정수인 점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가 늘 그렇듯이 실제 시험에서 시간의 압박을 느끼며 중복되지 않고, 빠뜨리지 않게 헤아리는 것은 참 힘든 일입니다. 피타고라스의 수를 생각한다면 좀 더 빠르게 정리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만약 문제에서 A가 1사분면 위의 점이라는 조건이 없다고 한다면 개수가 어떻게 될지 공부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 문제는 2017년 11월 고1 학평 수학 30번을 변형한 문제입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