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평가 수학 기출/고29 2024년 6월 고2 학평 전문항 문제풀이 2025. 3. 8. 2024년 3월 고2 학평 전문항 문제풀이 2025. 2. 25. 2019년 3월 고2 학평 가형 19번 삼차식 해석을 묻고 있는 문제입니다. 아마 학생들은 ㄴ 지문의 "어떤"을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였거나 삼차방정식의 근실근이 2개인 경우에 대한 해석이 어려웠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해당 모의고사 객관식 문제중에서 가장 높은 오답률을 기록한 문제였는데, 오답으로 ㄱ과 ㄷ이 맞고 ㄴ은 틀렸다는 3번 보기를 선택한 학생이 전체의 3분의 1이 넘었습니다. 1이라는 실근을 가지는 것이 분명한 상황에서 남은 이차방정식의 근을 해석하여 삼차방정식의 근의 개수를 판별하는 것은 자주 나오는 유형입니다. 특히 삼차방정식의 실근이 2개가 되는 경우에 대해 이해와 정리가 필요합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12. 19. 2018년 6월 고2 학평 수학 나형 27번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집합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해야 합니다. 교집합이 최소가 되는 순간이 한 지역만 방문한 학생의 수가 최대가 되는 순간이고, 교집합이 최대가 되는 순간이 최소가 되는 순간이죠. 그 순간의 집합의 포함관계를 정확하게 이해를 해야 풀수 있는 문제입니다. 고1 내신대비에서 익숙한 유형인 교집합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물어보는 문제였다면 그리 어렵게 느껴지지 않았을 겁니다.. 같은 달에 치뤄진 가형 시험에서 출제된 교집합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물어보는 문제는 정답률 상위 15위 안에 들기도 했죠. 하지만 나형에서는 대칭차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으로 변형을 시켰기 때문인지 오답률 5위에 오른 것으로 확인됩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8. 15. 2018년 6월 고2 학평 수학 가형 11번 집합의 원소의 개수에 대한 실생활 활용 문제입니다. 활용문제가 늘 그렇듯이 수학기호로 요약을 하는것에서부터 문제풀이를 시작해야겠죠. 문제를 정리해보면 교집합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묻고 있음을 알수 있게 됩니다. 합집합의 범위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이 동시에 해결됨을 잊지않아야겠죠. 고1때부터 내신에서 많이 접했던 유형이어서인지 해당모의고사에서 정답률 상위 15위안에 든 문제로 확인됩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2021. 8. 14. 2015년 9월 고2 학평 수학 가형 19번 주어진 정적분식을 계산하면 b=2a라는 조건을 얻게 됩니다. 결국 이 문제는 삼차함수와 x축과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을때를 묻고 있음을 그래프로 해석할수 있다면 정적분 계산을 하지 않고도 빠르게 b=2a를 이끌어내어 문제를 해결할수 있습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삼차함수와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을 조건 2021. 8. 1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