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평가원 기출19 2021학년도 수능 수학 가형 27번 왜 부등식, 즉 범위로 처리하면 답이 안나오는지에 대해 여러번 질문을 받았던 문제입니다. 주어진 로그식이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n의 개수를 물어보고 있죠. 부등식으로 정리해서 나온 밑이 4인 로그 n이 26 이하인 모든 경우에 되는 것이 아니라 26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문제에서 주어진 로그식을 자연수로 만들어주는 n을 찾아야 합니다. 매해 꾸준하게 질문이 나오는 것을 보면 오답률 4위에 오른 것이 이해가 좀 되기도 합니다. 주어진 로그식을 밑을 2로 하는 로그식으로 정리할수도 있고, 40이하의 자연수 k로 둔 후 로그가 아닌 n을 k에 대한 지수 형태로 정리하여 해석할 수 도 있습니다. 어떤 접근이든 위와 같은 실수를 하지 않도록 문제에서 요구하는 바를 잘 해석해야겠습니다. 2021학년도 수능 수.. 2022. 2. 19. 2019학년도 9월 모평 수학 나형 19번 도형에 적용된 등비급수의 활용 문제는 반드시 점수로 확보해야하는 유형입니다. 답을 구하는 과정은 정형화되어있으며, 그 과정에서 보조선 등을 이용한 닮음비 구하기와 복잡하지만 정확한 계산이 중요 포인트가 됩니다. 닮은 도형을 찾은 후 대응되는 변의 길이를 찾는 과정을 연습하셔야 합니다. 원이 나온다면 항상 중심과 반지름을 생각하면서 보조선을 그으시면 됩니다. 자주 나오는 유형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모의고사에서 오답률이 50%가 넘은, 객관식 문항중에서 세번째로 높은 오답률로 확인이 되네요. 이 유형이 약하다면 하루 한개 또는 두개씩 꾸준히 연습해서 반드시 자신의 점수로 가져갈수 있는 문제로 만들어야합니다. 귀찮은 유형이 될지언정 못푸는 유형이 되면 절대로 안됩니다. - 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2022. 1. 2. 2019학년도 수능 수학 가형 18번 부채꼴의 넓이와 삼각형의 넓이를 구한후 삼각함수의 극한값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부채꼴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반지름을 알아야겠고,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두 변과 끼인각을 찾아야합니다. 이를 위해 직각삼각형에서 한 변과 각이 주어졌을때 다른 변의 길이를 표현하기, 각의 이등분선에서의 변의 길이 구하기 등을 평소 연습하고 정리해두셔야 합니다. 구해야하는 것에 집중하면 어렵지않게 식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만 결국 식을 어떻게 정리할 것인가가 중요한 포인트가 됩니다. 쎄타와 사인, 쎄타와 탄젠트가 짝을 이루어야함은 물론 (1-코사인)과 쎄타가 또 짝을 이루어야함이 평소에 잘 훈련되어있다면 주어진 식을 어떻게 정리해야할지 보이게 됩니다. 내가 아는 것을 써먹을 수 있는 방향으로 정리하는 습관을 가지시면 좋을것.. 2022. 1. 1. 2014학년도 수능 수학 B형 18번 삼각함수의 그래프와 수열의 극한을 결합한 꽤 좋은 문제입니다. 일반항 파악이 먼저 되어야 하는데 그래프가 있기때문에 어렵지않게 범위를 끌어낼 수 있습니다. 만약 그래프가 없었다면 문제가 훨씬 어려웠을 것이라 예상됩니다. 결국 탄젠트 함수는 주기와 점근선이 가장 중요함을 잊지 말아야겠고, 일반항을 n에 대한 식으로 구하는 것이 어렵다면 범위를 이끌어내어 샌드위치 정리로 접근하는 것 또한 평소에 연습해두셔야겠죠. n이 한없이 커질때 a_n은 당연히 발산하지만 점근선에 가까워지므로 a_n의 코사인값은 0에 가까워진다는 것까지 정리를 하였습니다. 기출변형 문제까지도 대비할수 있도록 정리해두시기 바랍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2. 1. 1. 2019학년도 6월 모평 나형 21번 삼차함수의 해석을 통하여 참, 거짓을 판별하는 문제입니다. 보기의 ㄷ에 대한 해석이 어려웠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수식으로 접근하여 삼차방정식의 근이 2개가 되는 경우를 조사하면 되는데 오답률을 본다면 이또한 학생들에게는 쉽지 않았던것 같습니다. 수식 계산을 통해 얻은 네개의 k의 값들은 그래프에서는 결국 접선의 기울기로 해석할수 있습니다. 주어진 삼차함수가 원점을 지나기 때문에 결국 삼차함수 위의 점에서 그은 접선과 삼차함수와의 교점이 2개가 나오는 순간을 해석하면 됩니다. 주어진 문항의 삼차함수가 극대, 극소를 가진다는 것과 원점의 위치를 고려해보았을때 접선을 2개 그을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접선이 두개이고, 각각의 접선과 같은 기울기의 접선을 하나씩 더 그을 수 있으므로 네개의 k값이 나오게 되.. 2021. 12. 13. 2020학년도 수능 나형 15번 등차수열의 합을 구하는 것을 넘어 언제 최대가 되는지를 물어보고 있는 문제입니다. 등차수열의 합이 상수항이 없는 n에 대한 이차식임을 이해한다면 그래프를 통해 어렵지않게 합이 최대가 되는 순간을 찾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이해가 없이 등차수열의 합을 계산만 열심히 해왔던 학생이라면 어렵게 느껴질수 있는 문제입니다. 객관식 문제중 두번째로 높은 오답률을 보이고 있네요. 등차수열의 일반항과 합에 대한 구조분석은 매우 중요합니다. 처음에 공식을 유도하고 정리하면서 계산에 익숙해지는 과정을 거쳤다면 반드시 그래프로 접근해보셔야 합니다. 단순히 수식 계산이 아닌 그래프 또는 수식의 구조분석을 통해 쉽게 해결할수 있는 여러 기출문제가 있으니 꼭 정리해두기를 권합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 2021. 12. 13.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