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평가원 기출19

2022학년도 수능 예시문항 수학 공통영역 9번 삼차함수 밖에서 삼차함수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은 접점의 x좌표를 t로 두고 접선을 표현한 후 지나가는 점을 대입하여 t를 구한후 접선의 방정식을 정리하면 됩니다. 하지만 삼차함수 위의 점에서의 접선은 그 점이 접점인 경우와 아닌 경우 두가지가 나오게 되며, 접점의 x좌표를 구하지 않아도 삼차함수와의 연립을 통하여 이차방정식의 중근 조건을 이용하여 구할수 있습니다. 계산과정을 단축시킬수 있죠. 풀이에서는 접선이 잘 그어지도록 원점의 위치를 임의로 잡았고, 실제로는 아래와 같은 접선이 그어지게 됩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19학년도 6월 모평 나형 21번 2021. 6. 27.
2008학년도 6월 모평 수학 가형 22번 도함수를 활용하여 최댓값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길이나 넓이 등과 관련된 활용문제는 식만 잘 세우면 계산은 크게 어렵지 않죠. 무엇이 변하고 있는지를 찾으시고 그것을 변수로 설정하는것부터 시작하셔야합니다. 물론 범위도 체크해야겠죠. 삼차함수의 성질 2대1을 적용한다면 정답을 좀 더 빨리 얻을수 있으니 삼차함수의 그래프 그리는 것에 익숙해지도록 연습하세요.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6. 23.
2018학년도 수능 나형 수학 18번 삼차함수는 전구간에서 연속이자 미분가능합니다. 삼차함수의 도함수인 이차이하의 함수 또한 전구간에서 연속이자 미분이 가능하죠. 그래서 f(x)를 식으로 표현하였지만 주어진 식에 대입하여 구하지 않고 우선 변형과 정리를 통해 조건을 하나 이끌어내었습니다. 계산과정을 단축시킬수 있는 방법을 계속 고민하면서 공부해야겠죠.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삼차함수의 성질 - 교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2021. 6. 18.
2022학년도 6월 모평 수학 14번 이 문제는 연속 조건에서 나온 f(-p)=-q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게 핵심이며, 절댓값 그래프와 대칭이동까지 고려해야하지만 도형의 평행이동을 축의 이동으로 생각한다면 그래프를 그리는 수고를 덜하면서 조건에 맞는 그래프를 찾을수 있습니다. 문제에서 요구하지는 않았지만 a는 f(a)=-7을 계산한다면 a=5임을 알수 있습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6. 4.
2006학년도 9월 모평 수학 가형 6번 공차가 0이 아닌 등차수열의 일반항은 n에 대한 일차식입니다. ㄱ과 ㄴ에서 식 계산을 모두 다 할 필요없이 n에 대한 일차식이 나오는지만 확인하면 됩니다. 또한 ㄴ이 참임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ㄷ을 해석할수 있어야겠습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5. 31.
2006학년도 6월 모평 수학 가형 나형 16번 이 문제를 공차가 문자로 주어져있으므로 등차수열의 합 공식으로 표현한 후 주어진 식과 비교를 통해 풀수도 있지만 등차수열의 일반항과 합 공식의 구조를 정확히 이해한다면 빠르게 답을 찾을수 있는 문제입니다. 등차수열의 일반항 구조분석 - n에 대한 일차식으로 해석하여 빠르게 구하기 등차수열의 합 공식의 구조분석 - 상수항이 없는 n에 대한 이차식 이는 등차수열 전반에 걸쳐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문제를 푸는 속도를 높여주는 중요한 내용이니 반드시 익혀두시기를 권합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