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평가원 기출22

2022학년도 6월 모평 수학 14번 이 문제는 연속 조건에서 나온 f(-p)=-q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게 핵심이며, 절댓값 그래프와 대칭이동까지 고려해야하지만 도형의 평행이동을 축의 이동으로 생각한다면 그래프를 그리는 수고를 덜하면서 조건에 맞는 그래프를 찾을수 있습니다. 문제에서 요구하지는 않았지만 a는 f(a)=-7을 계산한다면 a=5임을 알수 있습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6. 4.
2006학년도 9월 모평 수학 가형 6번 공차가 0이 아닌 등차수열의 일반항은 n에 대한 일차식입니다. ㄱ과 ㄴ에서 식 계산을 모두 다 할 필요없이 n에 대한 일차식이 나오는지만 확인하면 됩니다. 또한 ㄴ이 참임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ㄷ을 해석할수 있어야겠습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5. 31.
2006학년도 6월 모평 수학 가형 나형 16번 이 문제를 공차가 문자로 주어져있으므로 등차수열의 합 공식으로 표현한 후 주어진 식과 비교를 통해 풀수도 있지만 등차수열의 일반항과 합 공식의 구조를 정확히 이해한다면 빠르게 답을 찾을수 있는 문제입니다. 등차수열의 일반항 구조분석 - n에 대한 일차식으로 해석하여 빠르게 구하기 등차수열의 합 공식의 구조분석 - 상수항이 없는 n에 대한 이차식 이는 등차수열 전반에 걸쳐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문제를 푸는 속도를 높여주는 중요한 내용이니 반드시 익혀두시기를 권합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5. 31.
2016학년도 수능 수학 B형 21번 이 문제는 역함수의 미분법을 활용할수 있는지를 물어보고 있는 고난도 문항이며, 그해 수능 B형에서 오답률이 64.5%로 오답률 3위로 확인됩니다. f(t)와 g(t)는 y=t 일때의 삼차방정식의 근이 되며 t에 관한 식으로 표현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만 t=5일때의 경우를 묻고 있음을 파악한다면 역함수의 미분법을 모른다고 하더라도 필요한 함숫값과 미분계수를 구할수 있습니다. 다소 복잡한 계산과정을 동반하지만 삼차함수와 직선과의 교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관련 성질을 이해한다면 좀 더 빠른 계산이 가능할 것입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삼차함수의 성질 - 교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2021. 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