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2

재현고(서울 노원구) 2020년 1학년 1학기 기말 수학 15번 세 점이 주어졌을때 거리의 제곱의 합에 관한 문제입니다. 수식 계산을 통해 이차식의 최솟값 구하는 문제로 접근하시면 되지만 최소가 되는 점이 삼각형의 무게중심 또는 좌표의 평균이라는 것을 이해한다면 좀 더 빠르게 답을 끌어낼수 있습니다. 거리의 제곱의 합의 최솟값 - 좌표의 평균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5. 28.
불암고(서울 노원구) 2010년 1학년 2학기 중간 수학 2번 네 점이 주어졌을때 거리의 제곱의 합이 최소가 되는 순간을 물어보고 있는 문제입니다. 구하는 점을 변수 설정하고 수식 계산을 하면 정리되는 이차식의 최솟값을 구하면 되지만 그 과정이 결국 좌표의 평균을 구하는 것임을 이해한다면 빠르게 답을 낼수 있는 문제입니다. 거리의 제곱의 합의 최솟값 - 좌표의 평균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5. 28.
청원고(서울 노원구) 2020년 1학년 1학기 기말 수학 5번 세 점이 주어졌을때 거리의 제곱의 합에 관한 문제입니다. 수식 계산을 통해 이차식의 최솟값 구하는 문제로 접근하시면 되지만 최소가 되는 점이 삼각형의 무게중심 또는 좌표의 평균이라는 것을 이해한다면 좀 더 빠르게 답을 끌어낼수 있습니다. 거리의 제곱의 합의 최솟값 - 좌표의 평균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5. 28.
거리의 제곱의 합의 최솟값 - 좌표의 평균 두 점이 주어진 경우 거리의 제곱의 합이 최소가 되는 점은 선분의 중점이 됩니다. 이는 수식을 정리하여 이끌어낸 이차식의 최솟값을 구하는 과정을 생각해보면 쉽게 이끌어낼수 있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간단하게 문제가 출제되는 경우보다는 최소가 되게 하는 점이 x축 위에 있다 또는 y=x-1 위에 있다 등으로 조건이 더 추가된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엔 당연히 선분의 중점이 되지 않으며, 이차식의 최솟값을 구하면 어렵지 않게 계산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선정리로 접근한다면 최소가 되는 점의 위치를 이차식 계산없이 좀 더 빠르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세 점이 주어진 경우에도 이차식의 최솟값을 구하는 과정을 거친다면 최소가 되는 점이 삼각형의 무게중심이 됨을 알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유형이 객관식문제.. 2021. 5. 27.
청원고(서울 노원구) 2019년 1학년 1학기 기말 수학 단답형 2번 이 문제는 길이의 비에 관한 관계식을 끌어내어 C의 위치를 찾아서 푸는 내분점, 외분점에 관한 문제입니다. 비의 순서가 중요하며, 반드시 C에서 시작하여 정확한 위치를 찾아서 계산해야겠죠. 두가지 경우가 나오니 빠뜨리지 않도록 잘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5. 27.
상계고(서울 노원구) 2018년 1학년 1학기 기말 수학 4번 이 문제를 두 점 사이의 거리로 접근하시면 직선의 방정식까지 구하여 관계식을 하나 더 이끌어내어야해서 풀이가 길어지게 됩니다. 길이에 관한 비를 이끌어내어 내분점 또는 외분점으로 파악하여 점 P의 위치를 찾으면 되며, 두가지 경우를 모두 확인하신후 문제의 뜻에 맞는 점을 찾으시면 됩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