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최댓값은 직관적으로 파악할수 있습니다. 원소의 개수가 가장 작은 집합을 찾으면 되겠죠. 하지만 최솟값은 바로 파악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합집합의 최대, 최소에서 교집합으로 식을 변형하는 작업을 거칩니다. 그 과정을 잘 정리해둔다면 서술형 대비도 충분히 되겠죠.
두 개의 집합인 경우를 해석한다면 세 개의 집합인 경우에도 정리할수 있습니다. 각 집합의 원소의 개수에서 전체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몇번 빼면 되는지에 대한 규칙을 찾으셨다면 일반화도 가능하겠죠.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 모의고사 기출>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 학교 내신기출>
'개념정리 및 심화 > 개념정리 및 심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차함수와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을 조건 (0) | 2021.08.12 |
---|---|
삼차함수의 성질 - 2대1 (0) | 2021.06.21 |
등비수열의 일반항과 합 공식의 구조 분석 (0) | 2021.06.11 |
점과 직선사이의 거리의 최댓값 (0) | 2021.06.10 |
등차수열의 합 공식의 구조분석 - 상수항이 없는 n에 대한 이차식 (0) | 2021.05.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