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72 2021학년도 6월 모평 수학 나형 30번 그래프가 어떻게 그려질수 밖에 없는가를 고민하게 하는 전통적인 문제입니다. 이차함수의 선대칭 및 삼차함수의 점대칭 성질을 이해하고 있어야하며, 미분가능성과 최대, 최소 등 다양한 개념과 계산과정을 요구하고 있는 고난도 문제입니다. 조건에 맞는 그래프 개형을 끊임없이 그려보면서 찾아야하기에 당연히 학생들에게는 꽤 어렵게 느껴졌으리라 생각합니다. 해당 모의고사에서 당연하게도 오답률 1위에 올랐고, 겨우 6%의 학생들만 정답을 맞춘 것으로 확인됩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8. 30. 내코디 상위권 내신 실전모의고사 (15회) 고1 수학(하) 출간알림 2021년 고1 2학기 중간고사 대비로 제작한 내신 실전모의고사 문제집입니다. 총 15회로 구성되어있으며 마무리 실전대비용으로 활용하시면 좋을듯합니다. 학생들에게 최대한 도움이 되도록, 그리고 제가 가르치는 학생들에게 부끄럽지 않도록 만들려고 노력하였고, 제가 변형한 문항에 대해서는 유튜브 해설 또한 참조할수 있도록 작업하였습니다. 흔히들 영혼을 갈아넣었다는 표현을 쓰지만 아직 미흡한 부분도 많고, 더 발전시켜야할 여지도 많음을 스스로 잘 알고 있습니다. 다만 제 학원 경력의 모든 것이 담겨질수 있도록 매번 작업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다짐을 해봅니다. 내코디 상위권 내신 실전모의고사(15회) 고1 수학(하) : 빡공대 [빡공대] 빡공대에서 출판한 2022 수능특강(수1, 수2, 확통, 미적분) 변형교재를 .. 2021. 8. 30. 2020년 수능특강 수학1 0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level3 2번 EBS의 "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 연계내역분석"에 따르면 2021학년도 6월 모평 가형 18번 나형 21번 문항은 이 문항을 확대, 축소, 변형을 통해 연계한 문제라고 합니다. 6월 모평 문항보다 훨씬 쉽게 해결할수 있는 이유는 밑이 같은 두개의 지수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을 묻고 있기 때문에 기하학적 의미 파악 뿐 아니라 대수적인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즉, 연립하여 교점의 좌표를 구할수 있습니다. 대체로 이 합답형 유형의 문제가 기하학적 의미를 물어보고 있기때문에 그래프에서 접근하여 해석하는 풀이가 매우 중요합니다. 교점을 구할 수 있는 경우에도 기하학적 의미를 확인하고 보완하는 측면에서 정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8. 30. 큐브 (Cube, 1997) 이 리뷰는 은사수리과학연구소에서 발간한 2017년 2월호 "대중문화와 수학" 코너에 기고한 글을 원본으로 하며, 웹에 맞게 약간의 편집과 수정을 거쳤습니다. 또한 영화의 중요한 내용과 결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들어가며] 1997년에 제작된 SF 스릴러인 는 밀실과 함정(trap), 탈출을 다룬 영화중에서 대중에게 가장 먼저 주목을 받은 영화다. 제목 그대로 정육면체(Cube) 모양의 방들로 이루어진 거대한 구조물에 갇힌 사람들이 퍼즐을 풀어가며 탈출을 시도한다는 참신한 소재와 한정된 공간에서의 감각적인 연출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큐브에 관련된 법칙이나 함정의 조건 등은 수학자인 프라비카 (David W. Pravica) 박사의 자문을 받았다고 한다. 세계 3대 판타스틱 영화제인 “시체스”, “브뤼셀”,.. 2021. 8. 30. 2021학년도 6월 모평 수학 가형 18번 나형 21번 지수함수의 그래프의 활용에 관한 합답형 문제입니다. 합답형 문제는 ㄷ 단독으로 해석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ㄱ과 ㄴ의 참, 거짓을 판별하는 과정을 잘 정리해두셔야 ㄷ을 해결할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지수함수와 이차함수의 연립을 통한 대수적인 풀이가 되지 않으므로 그래프를 통한 기하학적인 의미를 따져가면서 문제를 푸셔야 합니다. 특히 모든 함수의 그래프에서 절편은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며, 이차함수인 경우 축대칭임을 잊지 마셔야합니다. 나형 21번에서 다루어지긴 했지만 전통적인 킬러문제인 20번과 21번의 난이도를 낮추고, 준킬러 문제들의 난이도를 조금 높여 출제한 경향때문인지 전체문제에서 오답률 10위, 객관식 문제중에서는 네번째로 오답이 높은 문제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EBS에서 연계했다.. 2021. 8. 30. 화정고(고양시 덕양구) 2018년 1학년 2학기 중간 수학 19번 소수는 1보다 큰 자연수 중에서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수입니다. 따라서 소수 m을 두 자연수의 곱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1×m 뿐임을 이용하여 n의 값을 구한 후 교집합의 원소를 찾으면 됩니다. 이 문제는 "2015년 개정과정 마플시너지 수학(하) 226번" 주관식 문제를 객관식으로 바꾼 문제입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8. 25.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