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평가 수학 기출/고321 2017년 3월 고3 학평 수학 나형 28번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묻고 있는 문제입니다. 최댓값은 직관적으로 해석할수 있지만 최솟값은 합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가지는 범위에서 시작해야 구할수 있습니다.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최대가 되는 순간은 집합 B가 집합 A에 포함될때이고, 최소가 되는 순간은 집합 A와 집합 B의 합집합이 최대가 되는, 즉 전체집합이 될때로 정리하시면 됩니다. 이 유형은 현 고1 학생들의 내신문제로 많이 다루어지기 때문인지 해당 모의고사에서 거의 절반인 50.7%의 학생들이 정답을 맞추었습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2021. 8. 14. 2018년 3월 고3 학평 수학 나형 29번 "모든"과 "어떤"을 포함한 명제를 해석하여 반드시 가지는 원소를 체크하여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모든"은 말 그대로 "하나도 빠짐없이 만족"으로, "어떤"은 "단 하나라도 존재해야"로 해석해야겠죠. 오답률이 해당 모의고사에서 두번째로 오답률이 높았던 문제로 고3 학생들에게도 까다롭게 느꼈던 문제였습니다. 하지만 현재 집합을 배우고 있는 고1 학생들 내신시험문제로도 출제가능성은 충분히 있겠죠.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8. 13. 2011년 7월 고3 학평 수학 나형 26번 정적분을 이용한 넓이 계산문제입니다. 두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인 A와 C를 식으로 표현하면 좀 더 식을 다듬을 수 있게 되고, 계산과정을 단축시킬수 있습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8. 12. 2011년 3월 고3 학평 수학 나형 27번 n=1, 2, ... 를 대입하여 항을 구하는 시도는 루트n의 대략적인 값을 체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기때문에 a_n이 1, 2, ...가 되는 n을 찾는 시도를 하였습니다. 이런 해석을 통해 문제에서 주어진 (나) 조건은 결국 루트n에 가장 가까운 자연수 또는 루트n을 소수점 아래 첫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수임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09학년도 9월 모평 가형 나형 22번 2021. 6. 30. 2020년 3월 고3 학평 수학 가형 17번 이 문제는 복잡한 계산과정을 줄일수 있는 여러 가지 포인트가 있습니다. 1. 삼차함수와 직선의 교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2. 삼차함수 위의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3. 삼차함수의 성질 - 2대1 2번의 경우, 접점의 x좌표를 t로 두고 접선을 구한후 지나는 점을 대입하여 t를 구하는 풀이가 일반적이지만 삼차함수 밖의 점이 아닌 삼차함수 위의 점에서의 접선임을 인지하였다면 기울기를 좀 더 빠르게 구할수 있습니다. 물론 저 삼차함수의 성질들과 방법을 모른다 하더라도 일반적인 풀이로 접근하여 답을 구할수 있습니다만 계산과정을 다듬고 줄일수 있도록 학습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실제 시험에서는 시간이 늘 부족하니까요 이 문제는 2020년 3월로 예정되어있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하여 2020년 4월에 시행된 모의고사.. 2021. 6. 27. 2007년 10월 고3 학평 수학 가형 6번 함수의 연속성에 대해 묻고있는 문제입니다. x->0 과 x=0은 당연히 다르죠. 0에 한없이 가까워지지만 0은 아닙니다. 극한값과 함숫값이 같음에서 f(0)과 f'(0)이 같다라는 조건이 정리되는데 f(0)은 상수항이고, f'(0)은 일차항계수임을 이해한다면 바로 보기에서 답을 골라낼수 있습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6. 18.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