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2

2017년 3월 고3 학평 수학 나형 21번 조건제시법으로 주어진 집합을 해석하여 원소를 찾는 문제입니다. 작은수부터 증가시키면서 변화시키겠다는 규칙을 정한후 m을 변화시키면 되겠죠. 또한 ㄱ에서의 특정 수에 대한 접근을 통해 조건을 파악한다면 ㄴ으로 확장시키는 것 또한 한 가능하였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1/3정도의 학생들이 정답을 찾은 것으로 파악되네요. 21번이지만 해당 모의고사에서 객관식 문항중 세번째로 높은 오답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아서는 상위권 학생들에겐 아주 어려운 문항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2. 2. 12.
2009년 4월 고3 학평 수학 가형 8번 이 문제는 간단해 보이지만 고3 수업을 했을때 자주 질문이 나오는 문제입니다. 제곱이나 세제곱 등을 통해 비교하려는 시도는 많이 하지만 언제 지수의 대소관계를 파악할수 있는지는 쉽게 보이지 않아 당황하게 됩니다. 거듭제곱을 통해 밑이 커졌을 때, 그 값이 반대로 작아지는 경우를 찾는다면 대소관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2. 2. 12.
2019학년도 9월 모평 수학 나형 19번 도형에 적용된 등비급수의 활용 문제는 반드시 점수로 확보해야하는 유형입니다. 답을 구하는 과정은 정형화되어있으며, 그 과정에서 보조선 등을 이용한 닮음비 구하기와 복잡하지만 정확한 계산이 중요 포인트가 됩니다. 닮은 도형을 찾은 후 대응되는 변의 길이를 찾는 과정을 연습하셔야 합니다. 원이 나온다면 항상 중심과 반지름을 생각하면서 보조선을 그으시면 됩니다. 자주 나오는 유형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모의고사에서 오답률이 50%가 넘은, 객관식 문항중에서 세번째로 높은 오답률로 확인이 되네요. 이 유형이 약하다면 하루 한개 또는 두개씩 꾸준히 연습해서 반드시 자신의 점수로 가져갈수 있는 문제로 만들어야합니다. 귀찮은 유형이 될지언정 못푸는 유형이 되면 절대로 안됩니다. - 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2022. 1. 2.
2019학년도 수능 수학 가형 18번 부채꼴의 넓이와 삼각형의 넓이를 구한후 삼각함수의 극한값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부채꼴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반지름을 알아야겠고,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두 변과 끼인각을 찾아야합니다. 이를 위해 직각삼각형에서 한 변과 각이 주어졌을때 다른 변의 길이를 표현하기, 각의 이등분선에서의 변의 길이 구하기 등을 평소 연습하고 정리해두셔야 합니다. 구해야하는 것에 집중하면 어렵지않게 식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만 결국 식을 어떻게 정리할 것인가가 중요한 포인트가 됩니다. 쎄타와 사인, 쎄타와 탄젠트가 짝을 이루어야함은 물론 (1-코사인)과 쎄타가 또 짝을 이루어야함이 평소에 잘 훈련되어있다면 주어진 식을 어떻게 정리해야할지 보이게 됩니다. 내가 아는 것을 써먹을 수 있는 방향으로 정리하는 습관을 가지시면 좋을것.. 2022. 1. 1.
2014학년도 수능 수학 B형 18번 삼각함수의 그래프와 수열의 극한을 결합한 꽤 좋은 문제입니다. 일반항 파악이 먼저 되어야 하는데 그래프가 있기때문에 어렵지않게 범위를 끌어낼 수 있습니다. 만약 그래프가 없었다면 문제가 훨씬 어려웠을 것이라 예상됩니다. 결국 탄젠트 함수는 주기와 점근선이 가장 중요함을 잊지 말아야겠고, 일반항을 n에 대한 식으로 구하는 것이 어렵다면 범위를 이끌어내어 샌드위치 정리로 접근하는 것 또한 평소에 연습해두셔야겠죠. n이 한없이 커질때 a_n은 당연히 발산하지만 점근선에 가까워지므로 a_n의 코사인값은 0에 가까워진다는 것까지 정리를 하였습니다. 기출변형 문제까지도 대비할수 있도록 정리해두시기 바랍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2. 1. 1.
2019년 6월 고1 학평 수학 21번 까다로운 이차함수 해석문제입니다. 교점의 x좌표가 연립한 이차방정식의 근임을 이해한다면 ㄱ과 ㄷ 지문은 등식이므로 수식계산을 통해 어느정도 접근이 가능였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래서인지 이 문항의 오답으로 ㄱ, ㄷ만 맞았다는 3번이 25.5%로 높은 편인데, ㄴ의 부등식 해석이 더 까다로웠던 것이겠죠. ㄴ 지문 또한 수식계산으로 풀어나갔습니다. 좌변을 하나의 함수 식으로 정리하거나 조건 (가)와 (나)에서 구한 식에서 b를 소거하는 방식으로 정리한다면 ㄷ까지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해당 모의고사의 해설을 보면 수식 계산이 아닌 이차함수의 최댓값, 최솟값을 부등식으로 표현하여 ㄴ의 부등식을 이끌어내었는데, 실제 시험에서 학생들이 접근하기엔 매우 어려운 방법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전체 문항중 세번째로 .. 2021.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