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57

2019학년도 수능 수학 가형 18번 부채꼴의 넓이와 삼각형의 넓이를 구한후 삼각함수의 극한값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부채꼴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반지름을 알아야겠고,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두 변과 끼인각을 찾아야합니다. 이를 위해 직각삼각형에서 한 변과 각이 주어졌을때 다른 변의 길이를 표현하기, 각의 이등분선에서의 변의 길이 구하기 등을 평소 연습하고 정리해두셔야 합니다. 구해야하는 것에 집중하면 어렵지않게 식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만 결국 식을 어떻게 정리할 것인가가 중요한 포인트가 됩니다. 쎄타와 사인, 쎄타와 탄젠트가 짝을 이루어야함은 물론 (1-코사인)과 쎄타가 또 짝을 이루어야함이 평소에 잘 훈련되어있다면 주어진 식을 어떻게 정리해야할지 보이게 됩니다. 내가 아는 것을 써먹을 수 있는 방향으로 정리하는 습관을 가지시면 좋을것.. 2022. 1. 1.
2014학년도 수능 수학 B형 18번 삼각함수의 그래프와 수열의 극한을 결합한 꽤 좋은 문제입니다. 일반항 파악이 먼저 되어야 하는데 그래프가 있기때문에 어렵지않게 범위를 끌어낼 수 있습니다. 만약 그래프가 없었다면 문제가 훨씬 어려웠을 것이라 예상됩니다. 결국 탄젠트 함수는 주기와 점근선이 가장 중요함을 잊지 말아야겠고, 일반항을 n에 대한 식으로 구하는 것이 어렵다면 범위를 이끌어내어 샌드위치 정리로 접근하는 것 또한 평소에 연습해두셔야겠죠. n이 한없이 커질때 a_n은 당연히 발산하지만 점근선에 가까워지므로 a_n의 코사인값은 0에 가까워진다는 것까지 정리를 하였습니다. 기출변형 문제까지도 대비할수 있도록 정리해두시기 바랍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2. 1. 1.
2019년 6월 고1 학평 수학 21번 까다로운 이차함수 해석문제입니다. 교점의 x좌표가 연립한 이차방정식의 근임을 이해한다면 ㄱ과 ㄷ 지문은 등식이므로 수식계산을 통해 어느정도 접근이 가능였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래서인지 이 문항의 오답으로 ㄱ, ㄷ만 맞았다는 3번이 25.5%로 높은 편인데, ㄴ의 부등식 해석이 더 까다로웠던 것이겠죠. ㄴ 지문 또한 수식계산으로 풀어나갔습니다. 좌변을 하나의 함수 식으로 정리하거나 조건 (가)와 (나)에서 구한 식에서 b를 소거하는 방식으로 정리한다면 ㄷ까지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해당 모의고사의 해설을 보면 수식 계산이 아닌 이차함수의 최댓값, 최솟값을 부등식으로 표현하여 ㄴ의 부등식을 이끌어내었는데, 실제 시험에서 학생들이 접근하기엔 매우 어려운 방법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전체 문항중 세번째로 .. 2021. 12. 19.
2017년 6월 고1 학평 수학 30번 아주 복잡한 계산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따져줘야하는 경우가 많은 문제입니다. 실제 시험에서 이런 문제를 만나게 되면 당황할수밖에 없겠죠. 계산과정이 길어진다는 것은 계산실수를 할 가능성도 커진다는 의미니까요. 그래서인지 해당 모의고사에서 오답률 1위에 올랐습니다. 하지만 문제 해결 방향이 보인다면 끝까지 계산을 밀어붙이는 끈기와 뚝심이 무엇보다 필요하겠죠. 또한 이차식을 세우는 것에 어려움이 없고 이차함수를 잘 이해하고 있었다면 계산과정을 더 줄일수 있을것입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12. 19.
2019년 3월 고2 학평 가형 19번 삼차식 해석을 묻고 있는 문제입니다. 아마 학생들은 ㄴ 지문의 "어떤"을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였거나 삼차방정식의 근실근이 2개인 경우에 대한 해석이 어려웠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해당 모의고사 객관식 문제중에서 가장 높은 오답률을 기록한 문제였는데, 오답으로 ㄱ과 ㄷ이 맞고 ㄴ은 틀렸다는 3번 보기를 선택한 학생이 전체의 3분의 1이 넘었습니다. 1이라는 실근을 가지는 것이 분명한 상황에서 남은 이차방정식의 근을 해석하여 삼차방정식의 근의 개수를 판별하는 것은 자주 나오는 유형입니다. 특히 삼차방정식의 실근이 2개가 되는 경우에 대해 이해와 정리가 필요합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12. 19.
2019학년도 6월 모평 나형 21번 삼차함수의 해석을 통하여 참, 거짓을 판별하는 문제입니다. 보기의 ㄷ에 대한 해석이 어려웠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수식으로 접근하여 삼차방정식의 근이 2개가 되는 경우를 조사하면 되는데 오답률을 본다면 이또한 학생들에게는 쉽지 않았던것 같습니다. 수식 계산을 통해 얻은 네개의 k의 값들은 그래프에서는 결국 접선의 기울기로 해석할수 있습니다. 주어진 삼차함수가 원점을 지나기 때문에 결국 삼차함수 위의 점에서 그은 접선과 삼차함수와의 교점이 2개가 나오는 순간을 해석하면 됩니다. 주어진 문항의 삼차함수가 극대, 극소를 가진다는 것과 원점의 위치를 고려해보았을때 접선을 2개 그을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접선이 두개이고, 각각의 접선과 같은 기울기의 접선을 하나씩 더 그을 수 있으므로 네개의 k값이 나오게 되.. 202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