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72 2016년 EBS 수능특강 수2 03 함수 level2 2번 정의역의 원소가 네개뿐이므로 네개의 함숫값을 적은 후 일대일대응임을 체크한다면 쉽게 a값을 구할수 있는 문제입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재현고(서울 노원구) 2020년 1학년 2학기 중간 20번 [2021년 1학년 2학기 중간고사 대비] 15회 20번 2021. 8. 11. 재현고(서울 노원구) 2020년 1학년 2학기 중간 20번 f(x)가 x에 대한 함수임을 생각한다면, 다른 문자로 표현된 함숫값들은 결국 공역의 어느 원소중 하나의 값을 가지는 상수임을 알수 있게됩니다. 정의역의 원소가 네개뿐이고, 일대일대응이므로 네개의 값에 대한 함숫값들을 모두 적은후 각 함숫값들의 관계를 생각한다면 두가지 경우만 체크하면 됨을 알수 있습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 8. 11. 재현고(서울 노원구) 2020년 1학년 2학기 중간 18번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의 함숫값을 묻고 있는 문제입니다. x가 소수일때만 f(x)=x로 함숫값을 알수 있습니다. 소수가 아닌 경우에는 (나) 조건을 이용하여 숫자를 작게 쪼개어야 합니다. 즉, 소인수분해를 통해서 함숫값을 계산해야하죠. 소인수분해와 (나)조건을 이용하여 몇번의 연습을 거친다면 어떤 수든 함숫값을 구할수 있습니다. 결국 소인수분해를 통해 소수가 몇번 등장하는가를 확인한다면 일반화도 가능하겠네요.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년 1학년 2학기 중간고사 대비] 15회 18번 2021. 8. 11. 상계고(서울 노원구) 2019년 1학년 2학기 중간 18번 첫번째는 가장 쉽게 접근할수 있는 좌표를 설정한 풀이입니다. C의 좌표를 미지수로 설정한 후 A와 B가 원 위의 점임을 이용한다면 문제에서 주어진 좌표들을 모두 구할수 있게 됩니다. 그 이후 DH 길이는 점과 직선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였습니다. 두번째 풀이는 원의 중심 O에서 현 AB에 내린 수선의 길이를 구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합니다. 결국 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중심과 반지름이며, 여러 도형이 같이 있는 경우 따로 떼어서 하나하나 들여다본다면 필요한 길이들을 구할수 있게 됩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년 1학년 2학기 중간고사 대비] 14회 18번 2021. 8. 8. 2017년 11월 고1 학평 수학 30번 직각삼각형이 되는 세가지 경우를 식으로 표현하여 시간과 노력만 잘 들인다면 충분히 풀수있는 문제입니다. 하지만 실제 시험에서는 시간의 압박속에서 계산을 해야하는 부담감이 크겠죠. 그렇기때문인지 해당 모의고사에서 오답률이 가장 높은 문제였고, 불과 5.3%만 정답을 맞추었습니다. 풀이에서는 식에서 x좌표와 y좌표가 정수인 점을 찾아내었지만 30개의 점들을 분석해보면 각 사분면에 7개씩 존재하고, x축 위에 두개의 점이 존재해서 7×4+2=30개임을 파악할수 있습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년 1학년 2학기 중간고사 대비] 14회 17번 2021. 8. 8. 상계고(서울 노원구) 2019년 1학년 2학기 중간 16번 주어진 원 위의 점 P, Q에서 문제가 시작되지만 원에서 P와 Q를 어디에 위치하도록 해야 선분 RS의 길이가 최대가 될것인가를 고민하게 된다면 문제가 매우 어렵게 느껴지고 잘 해결되지 않습니다. R과 S가 결국 대칭이동시킨 원 위의 점임을 파악한다면 두 원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을 묻는 문제로 해석하여 어렵지 않게 해결할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EBS 올림포스 수학(하) 도형의 이동 내신+수능 고난도 문항 3번"의 변형문제입니다. - 해설강의 : 유튜브 Math Mining [매쓰 마이닝] - [2021년 1학년 2학기 중간고사 대비] 14회 16번 2021. 8. 7.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9 다음